제1편 개인적 법익 관련 죄/제5장 재산에 대한 죄

쟁점 62. 강제집행면탈죄 (형법 327조)

POSTING 2017. 10. 30. 21:13

쟁점 62. 강제집행면탈죄 (형법 327)

1. 보호법익

- 강제집행권이 발동될 단계의 채권자의 채권() + 국가의 강제집행기능()

- ‘채권자를 해할 위험이 있으면 기수가 되는 추상적 위험범

======

2. 주체

- 채무자, ‘3도 본 죄의 주체

ex) 3자가 강제집행 면하려고 채무자 재산 손괴하면 본죄

======

3. 객체

- 채무자의 재산(동산, 부동산, 채권, 지적재산권(실용신안권), 기대권 등 모두)

====================

4. 강제집행을 받을 상태 - 객관적으로 강제집행을 당할 (구체적)위험이 있어야

. 채권자의 채권의 존재 + ‘금전채권

cf) 채권자의 가옥철거 및 토지인도청구권에 기한 강제집행은 X

. 민사집행법상의 강제집행이나 가압류 or 가처분에 한정

cf) 형사재판(벌금, 몰수)나 행정재판(과태료, 과징금 등)의 집행은 X

사례) 강제집행을 당할 (구체적)위험?

- 채권확보 위해 소송을 제기할 태세를 보일 때(실제 소송제기 不要)

 

 

 

5. 행위의 태양

. 은닉 or 손괴

- 재산발견 곤란, 재산의 소유관계 불명케

사례) 후순위채권자들의 강제집행 저지목적으로 선순위가등기권자에 본등기 경료, 금전등록기 사업자 이름 변경, 압류 유체동산을 채무자 소유로 사칭

. 허위의 양도

[cf) 양도가 진실 일 때는 강제집행면탈목적 있어도 본죄 X]

. 허위의 채무부담

- 차용증 등의 허위채무부담의 형식이 필요

 

6. 주관적 구성요건

- 고의 + 강제집행을 면할 목적

 

7. 기수(추상적 위험범, 채권자 현실로 해할 결과 不要)

- ‘채권자를 해할 우려가 있는 상태로 충분

 

8. 죄수

- 타인재물의 보관자가 강제집행 면하려고 횡령하면 횡령죄’ only

- 회사 부도나자 대표가 회사 돈을 자기 통장에 입금하면 횡령죄’ only

- 피고인이 허위채무 위해서 담보가등기 설정하고 그 가등기를 양도하여 본등기를 경료하게 한 경우는 ‘2강제집행면탈죄 경합범

쟁점 62. 강제집행면탈죄 (형법 327)